사람들이 나에게 가장 궁금해하는 것이 있다.
바로 제안과 제안서.
이번에는 일반적인 제안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내가 경험한 나의 제안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안서 작성과 제안과정
제안이라는 전체 과정을 두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제안 내용을 기획하고 만드는 제안서 작성, 다른 하나는 제안을 주고 받는 제안의 과정이다.
둘 중 무엇이 더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작성이 10, 과정이 90이라고 말하고 싶다.
오늘은 그 첫번째 제안서 작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나는 제안을 위해 3가지 문서를 만든다.첫째는 기획서.복지현장에서 쓰는 사업계획서라고 할 수 있다.내가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다.누구랑 언제 무엇을 어떻게 왜하고 싶은지 온전히 <내 입장>에서 작성한다. 진행했던 캠페인으로 예를 들자면,
<공연장한평나눔 캠페인>
- 개요: 연예인 공연장에 모금부스를 설치하고, 공연을 보러오는 사람들에게 정기후원을 요청한다.
- 제안대상: 공연을 앞둔 연예기획사 담당자 (결정권자는 따로 있을 것임)
- 의도: 일반거리모금에서의 ‘불특정 다수에게 요청하는 방식’의 문제의식에서 ‘특정인’들에게 요청할 수 있는 공연장이라는 곳으로 모금장소를 선정
- 핵심성공요소: 앵콜곡 직전에 가수들의 캠페인 소개
- 진행방식: 제안서작성 -> 연예기획사를 통한 제안 -> 공연전후 모금진행
꼭 형식을 갖출 필요 없이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기획하는 사람만 이해할 수 있다면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제안서를 만드는 것이니까.
둘째는 범용제안서
앞서 내 입장에서 작성한 기획서를 상대방 입장에서 정리해보는 제안서다.
내 제안을 받아야 하는 이유(혹은 받은면 좋은 이유)에 대해서 상대방입장에서 정리해보는 것이다.
보통은 그들이 받을 다른 제안들과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를 찾는데 주력한다.
개인적으로 연예기획사 직원이 윗 상사에게 우리 제안서를 소개하는 상황을 상상하면서 어떤 포인트를 만들어 주면 좋을지 생각하는 편이다.
예시) 공연장한평나눔 캠페인의 차별성
- 쉽다: 캠페인 진행에 대해 OK만 해주시면 모든 진행은 OOO이 준비하고 진행합니다.
- 부담이 없다: 돈이 아닌 공연장 공간의<한평>만 기부해주면 됩니다.
셋째는 개별제안서
범용제안서가 나왔다면 개별 연예인과 소속 기획사에 맞는 맞춤형 개별 제안서를 만든다.
표지디자인부터 내용, 표현, 색 구성 등등 제안서의 작은것 하나하나를 한 사람에게만 맞게 표현하는 것이다.
기업에 제안하는 것이라면
- 홈페이지를 통해 그 기업의 비전과 가치 방향성 참고하기
- 대표 인사말이나 인터뷰 내용 찾아보기
- 지난 사회공헌활동 보도자료 읽어보기 등을 통해
그들이 좋아하는 방식이나 방향, 단어 표현 심지어 색까지 그들에게 맞는 맞춤형 제안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내가 제안서를 작성할때마다 거치는 과정들이다.
꽤 품을 들이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글 서두에 말한대로 이것은 전체 제안과정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제안의 성공여부는 제안서가 아닌 다음에 이야기할 제안 과정에서 비로소 완성된다.
사람들이 나에게 가장 궁금해하는 것이 있다.
바로 제안과 제안서.
이번에는 일반적인 제안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내가 경험한 나의 제안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안서 작성과 제안과정
제안이라는 전체 과정을 두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제안 내용을 기획하고 만드는 제안서 작성, 다른 하나는 제안을 주고 받는 제안의 과정이다.
둘 중 무엇이 더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작성이 10, 과정이 90이라고 말하고 싶다.
오늘은 그 첫번째 제안서 작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나는 제안을 위해 3가지 문서를 만든다.첫째는 기획서.복지현장에서 쓰는 사업계획서라고 할 수 있다.내가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다.누구랑 언제 무엇을 어떻게 왜하고 싶은지 온전히 <내 입장>에서 작성한다. 진행했던 캠페인으로 예를 들자면,
<공연장한평나눔 캠페인>
- 개요: 연예인 공연장에 모금부스를 설치하고, 공연을 보러오는 사람들에게 정기후원을 요청한다.
- 제안대상: 공연을 앞둔 연예기획사 담당자 (결정권자는 따로 있을 것임)
- 의도: 일반거리모금에서의 ‘불특정 다수에게 요청하는 방식’의 문제의식에서 ‘특정인’들에게 요청할 수 있는 공연장이라는 곳으로 모금장소를 선정
- 핵심성공요소: 앵콜곡 직전에 가수들의 캠페인 소개
- 진행방식: 제안서작성 -> 연예기획사를 통한 제안 -> 공연전후 모금진행
꼭 형식을 갖출 필요 없이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기획하는 사람만 이해할 수 있다면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제안서를 만드는 것이니까.
둘째는 범용제안서
앞서 내 입장에서 작성한 기획서를 상대방 입장에서 정리해보는 제안서다.
내 제안을 받아야 하는 이유(혹은 받은면 좋은 이유)에 대해서 상대방입장에서 정리해보는 것이다.
보통은 그들이 받을 다른 제안들과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를 찾는데 주력한다.
개인적으로 연예기획사 직원이 윗 상사에게 우리 제안서를 소개하는 상황을 상상하면서 어떤 포인트를 만들어 주면 좋을지 생각하는 편이다.
예시) 공연장한평나눔 캠페인의 차별성
- 쉽다: 캠페인 진행에 대해 OK만 해주시면 모든 진행은 OOO이 준비하고 진행합니다.
- 부담이 없다: 돈이 아닌 공연장 공간의<한평>만 기부해주면 됩니다.
셋째는 개별제안서
범용제안서가 나왔다면 개별 연예인과 소속 기획사에 맞는 맞춤형 개별 제안서를 만든다.
표지디자인부터 내용, 표현, 색 구성 등등 제안서의 작은것 하나하나를 한 사람에게만 맞게 표현하는 것이다.
기업에 제안하는 것이라면
- 홈페이지를 통해 그 기업의 비전과 가치 방향성 참고하기
- 대표 인사말이나 인터뷰 내용 찾아보기
- 지난 사회공헌활동 보도자료 읽어보기 등을 통해
그들이 좋아하는 방식이나 방향, 단어 표현 심지어 색까지 그들에게 맞는 맞춤형 제안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내가 제안서를 작성할때마다 거치는 과정들이다.
꽤 품을 들이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글 서두에 말한대로 이것은 전체 제안과정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제안의 성공여부는 제안서가 아닌 다음에 이야기할 제안 과정에서 비로소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