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모금의 시작은 0’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
‘당연히 0원부터 시작해야 하는 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들었는가?
모금 좀 하는 사람들은 절대 0원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
망하는 모금의 전형
#1. 후원의 밤
‘후원의 밤’을 개최한다.
참여자들과 맛있게 저녁을 먹고 본격적으로 후원 요청을 한다.
모금 취지를 설명하고, 큰 화면에 목표금액을 띄우고, 약정서를 돌린다.
약정서를 작성하는 사람은 극히 일부, 결국 돈만 쓰고 모금은 잘 안됐다.
#2. 온라인 모금
온라인 플랫폼에 모금 글을 올린다.
주변 사람들에게 링크를 보내서 후원 요청을 한다.
처음 며칠은 모금이 되는가 싶더니 목표금액을 반도 못 채우고 멈춰버렸다.
-
왜 망했을까?
서론에 이야기 한 것처럼 0부터 시작하는 모금은 망한다.
위 두 모금은 0부터 시작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금 방식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1. 후원의 밤
후원의 밤 모금 목표액이 1,000만 원인데 화면에 띄운 금액이 1,000만 원이면 망한 거다.
후원의 밤은 모금을 마감하는 자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모금 목표액이 1,000만 원이라면 후원의 밤 전에 70% 이상을 모으고,
후원의 밤에 온 사람들에게
“목표가 1,000만 원인데 지금까지 70%가 모였습니다. 나머지 30%를 채워주세요.”라고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추가로 사전 모금을 통해 약정을 받아두고,
후원의 밤에서 기부 사실을 부각시켜준다면
기부자 예우 측면에서나 다른 사람들의 기부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더 좋을 수 있다.
#2. 온라인 모금
온라인 모금도 마찬가지다.
모금함을 오픈하기 전에 사전 모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에서 두 달 동안 4,400만 원을 모은 모 단체는 사전 모금(바자회)을 통해
800만 원 정도를 모금했고, 모금함이 오픈했을 때 그 800만 원을 모금함에 넣고 시작했다.
또, 단체와 관계된 사람들에게 모금함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미리 안내하고,
모금함 오픈 일주일 동안 집중적으로 참여를 독려했다.
-
70의 법칙
모금에는 70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모금을 시작하기 전(사전 모금)에 70을 채워야 모금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모금 캠페인을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한다.
[모금 프로젝트 기획 -> 모금]
하지만, 성공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모금 프로젝트 기획 -> 사전 모금 -> 목표 70% 달성 -> 캠페인 공표 -> 공개 모금 시작]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우리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자원봉사자, 기존 후원자, 임직원 등 단체 이해관계자)을 대상으로
사전 모금을 진행하는 것이다.
지난 글에서 사람들마다 낼 수 있는 금액이 다르니
모금가가 요청금액을 정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 내용에 한 가지 덧붙이자면 요청금액에 따라 효과적인 요청 시기와 순서가 있다.
보통 큰 금액을 먼저 요청하고 작은 금액을 나중에 요청하는 것이 좋다.
모금 캠페인에서 가장 큰 기부금(보통 목표액의 10% 이상)을 리드 기프트라고 하는데,
이 리드 기프트를 찾아, 먼저 기부를 요청하고 (“선생님께서 첫 번째 기부자가 되어주십쇼”)
그다음 작은 금액들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선생님께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세요.”)
성공하는 모금을 하고 싶은가, 그럼 지금 내 모금의 시작점을 다시 기획해보자.
많은 사람들이 ‘모금의 시작은 0’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
‘당연히 0원부터 시작해야 하는 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들었는가?
모금 좀 하는 사람들은 절대 0원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
망하는 모금의 전형
#1. 후원의 밤
‘후원의 밤’을 개최한다.
참여자들과 맛있게 저녁을 먹고 본격적으로 후원 요청을 한다.
모금 취지를 설명하고, 큰 화면에 목표금액을 띄우고, 약정서를 돌린다.
약정서를 작성하는 사람은 극히 일부, 결국 돈만 쓰고 모금은 잘 안됐다.
#2. 온라인 모금
온라인 플랫폼에 모금 글을 올린다.
주변 사람들에게 링크를 보내서 후원 요청을 한다.
처음 며칠은 모금이 되는가 싶더니 목표금액을 반도 못 채우고 멈춰버렸다.
-
왜 망했을까?
서론에 이야기 한 것처럼 0부터 시작하는 모금은 망한다.
위 두 모금은 0부터 시작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금 방식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1. 후원의 밤
후원의 밤 모금 목표액이 1,000만 원인데 화면에 띄운 금액이 1,000만 원이면 망한 거다.
후원의 밤은 모금을 마감하는 자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모금 목표액이 1,000만 원이라면 후원의 밤 전에 70% 이상을 모으고,
후원의 밤에 온 사람들에게
“목표가 1,000만 원인데 지금까지 70%가 모였습니다. 나머지 30%를 채워주세요.”라고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추가로 사전 모금을 통해 약정을 받아두고,
후원의 밤에서 기부 사실을 부각시켜준다면
기부자 예우 측면에서나 다른 사람들의 기부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더 좋을 수 있다.
#2. 온라인 모금
온라인 모금도 마찬가지다.
모금함을 오픈하기 전에 사전 모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에서 두 달 동안 4,400만 원을 모은 모 단체는 사전 모금(바자회)을 통해
800만 원 정도를 모금했고, 모금함이 오픈했을 때 그 800만 원을 모금함에 넣고 시작했다.
또, 단체와 관계된 사람들에게 모금함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미리 안내하고,
모금함 오픈 일주일 동안 집중적으로 참여를 독려했다.
-
70의 법칙
모금에는 70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모금을 시작하기 전(사전 모금)에 70을 채워야 모금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모금 캠페인을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한다.
[모금 프로젝트 기획 -> 모금]
하지만, 성공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모금 프로젝트 기획 -> 사전 모금 -> 목표 70% 달성 -> 캠페인 공표 -> 공개 모금 시작]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우리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자원봉사자, 기존 후원자, 임직원 등 단체 이해관계자)을 대상으로
사전 모금을 진행하는 것이다.
지난 글에서 사람들마다 낼 수 있는 금액이 다르니
모금가가 요청금액을 정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 내용에 한 가지 덧붙이자면 요청금액에 따라 효과적인 요청 시기와 순서가 있다.
보통 큰 금액을 먼저 요청하고 작은 금액을 나중에 요청하는 것이 좋다.
모금 캠페인에서 가장 큰 기부금(보통 목표액의 10% 이상)을 리드 기프트라고 하는데,
이 리드 기프트를 찾아, 먼저 기부를 요청하고 (“선생님께서 첫 번째 기부자가 되어주십쇼”)
그다음 작은 금액들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선생님께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세요.”)
성공하는 모금을 하고 싶은가, 그럼 지금 내 모금의 시작점을 다시 기획해보자.